Notice
주요 소식
헤리티지커넥션의 주요 소식을 알립니다. 다양한 프로젝트 및 연구성과, 보도기사, 공시정보 등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공지사항을 확인하세요
No.20 미디어
2024-05-04 23:30:05 독일에 있는 유물 3차원 복원… 가상박물관 서비스 강화
서울시가 항공사진, 항공라이다·드론영상 등을 활용한 최신 도시공간 데이터를 12일부터 공개한다.
서울시는 서울 전역을 3D 지도로 구현한 디지털 공간지도 에스맵(S-MAP)을 새롭게 개선했다고 11일 밝혔다. 서울시는 2021년부터 가상현실을 활용한 거리뷰, 드론 영상, 문화재 관람 등을 담은 에스맵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에스맵은 서울 전역을 3D 지도로 구현하고 그 위에 행정, 환경, 시민생활 등 도시정보를 결합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다양한 도시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디지털 공간지도다.
이번에 새롭게 개선된 에스맵에서는 ▲한강 본류·4대 지천(중랑천, 홍제천, 탄천, 안양천) 수변공원 및 주요시설을 실감형 공간정보로 구축 ▲한강 바닥 지형의 3차원 제공 ▲2차선 이상 모든 도로의 정밀도로면을 제공한다. 이는 한강리버 버스, 자율주행 모니터링, UAM 안전 운항, 드론길 적정검토 등 미래도시 기초 데이터로도 활용될 계획이다.
해외 미환수 유물을 볼 수 있는 가상박물관 서비스도 강화된다. 독일 작센주에 있는 라이프치히 그라시민속박물관과 협력을 통해 박물관에 소장된 우리나라 유물 7점(청자양각연판문발, 청채음각화훼문병, 백석제화장구, 업경대, 옥떨잠, 필통, 금동보살입상)을 촬영·가공해 현지에 전시된 유물과 똑같은 빛감과 재질로 디지털 가상박물관에 전시한다.
서울시는 이번 사업에서 복원되지 못한 50여종의 해외 미환수 문화재를 지속적으로 3차원 복원해 언제든지 감상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더불어 서울시는 교수·학생, 전문연구가, 민간기업(스타트업 등) 등 다양한 사용자들의 신기술과 시가 보유한 데이터와 빠르게 융·복합해 손쉽게 실증할 수 있는 공간과 기술지원도 제공한다.
클라우드 기반의 '에스맵 오픈랩'은 누구나 회원가입을 통해 서울시에서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공간정보를 가공없이 간단한 클릭만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대중적인 오픈소스 GIS프로그램(QGIS)과 연계·운영할 수 있도록 개발했다.
박진영 서울시 디지털정책관은 "앞으로도 첨단 디지털 트윈 기술 등을 활용, 응용하여 도시문화, 도시안전,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시민의 눈높이에 맞는 서비스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출처: MTN 뉴스(https://news.mtn.co.kr/news-detail/2024041108463619411)
No.19 미디어
2024-05-04 23:25:22 서울시, ‘서울 3D 지도’ 에스맵 최신 데이터 12일 공개
에스맵, 2021년 최초 시민 공개
첨단기술 반영해 공간정보 축적
개방형 정보, 다양한 서비스에 접목
독일 미환수 유물도 실제처럼 구현
서울시는 서울 전역의 3차원(3D) 지도에 행정·환경·시민생활 등 도시정보를 결합한 서울 에스맵(S-MAP)의 최신 데이터를 12일 공개한다고 11일 밝혔다.
에스맵은 시가 2021년부터 공개한 것으로 디지털 가상 공간에 현실과 동일한 대상을 만드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해 만든 지도다. 시는 각종 시뮬레이션을 거쳐 항공 사진, 항공 라이다 및 드론 영상 등 최신 데이터를 활용해 가상현실을 활용한 거리뷰, 드론 영상, 문화재 관람 등 다양한 용도에 시민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일반에 공개하고 있다.
이번에 새롭게 만들어진 에스맵에는 한강 본류 및 4대 지천(중랑천·홍제천·탄천·안양천) 수변공원과 주요시설을 실감형 공간정보로 구축했다. 또 한강 바닥 지형을 3D로 구현하고, 2차선 이상 모든 도로의 정밀도로면을 제공한다. 이는 앞으로 한강리버버스, 자율주행 모니터링, 도심항공교통(UAM) 안전 운항, 드론길 적정성 검토 등 미래도시 기초 데이터로 활용된다.
해외 미환수 유물을 볼 수 있는 가상박물관 서비스도 확대된다. 독일 작센주의 라이프치히 그라시민속박물관과 협력해 이 박물관이 소장한 유물 7점(청자양각연판문발, 청채음각화훼문병, 백석제화장구, 업경대, 옥떨잠, 필통, 금동보살입상)을 촬영·가공해 현지에 전시된 유물과 똑같은 빛감과 재질로 디지털 가상박물관에 전시한다.
해당 유물은 직접 독일을 방문해야 볼 수 있는 유물이지만 시의 에스맵 서비스를 통해 온라인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관람할 수 있게 됐다. 시는 앞으로는 50여종의 미환수 문화재를 지속 발굴해 3차원 복원, 시민들이 쉽게 볼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또 다양한 아이디어 실증과 오픈마켓을 통한 기술 공유 및 신산업 창출을 지원하기 위해 첨단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해 ‘클라우드 기반 에스맵 오픈랩’을 고도화한다.
에스맵 오픈랩은 교수나 학생, 전문연구가, 민간기업 등이 보유한 자료를 디지털 트윈 기반으로 시가 보유한 데이터와 손쉽게 융·복합해 실증할 수 있는 개방형 플랫폼이다. 누구나 회원가입을 통해 이용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프로그램과 연계할 수 있다.
박진영 서울시 디지털정책관은 “기존의 디지털 트윈 에스맵은 도시계획, 기후환경, 교통 등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3차원 기반의 디지털 공간지도의 역할을 훌륭하게 수행했다면, 이번에 새롭게 시민에게 공개하는 에스맵은 현실에서는 경험해 볼 수 없는 서울의 옛 모습, 유물 등 다양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플랫폼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첨단 디지털 트윈 기술 등을 활용해 도시문화, 도시안전, 도시문제를 지속적으로 해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출처: 헤럴드경제 (https://news.heraldcorp.com/view.php?ud=20240411050255)
No.18 미디어
2024-05-04 23:19:27 "집에서 독일 박물관 유물 보세요"…최신 서울 '에스맵' 공개
가상세계에 미환수 유물 복제
한강원 본류와 서울 4대 지천 수변공원도 '클라우드 기반 S-Map 오픈랩' 고도화
서울시는 항공사진, 드론영상 등을 활용한 최신 도시공간 디지털 트윈 데이터를 12일부터 시민에게 공개한다고 11일 밝혔다. 서울시는 2021년부터 가상현실을 활용한 거리뷰, 드론 영상, 문화재 관람 등이 가능한 디지털트윈 서울 에스맵(S-MAP) 서비스를 시민에게 선보이고 있다.
디지털 트윈 S-Map은 시뮬레이션으로 도시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디지털 공간지도다. 서울 전역을 3D 지도로 구현하고 그 위에 행정, 환경, 시민생활 등 도시정보를 결합했다.
이번 최신 S-Map에서는 해외 미환수 유물을 볼 수 있는 가상박물관 서비스가 확대된다. 독일 작센주에 있는 '라이프치히 그라시민속박물관'과의 협력으로 박물관에 소장된 우리나라 유물 7점인 △청자양각연판문발 △청채음각화훼문병 △백석제화장구 △업경대 등을 촬영·가공해 실물과 똑같은 빛감과 재질로 디지털 가상박물관에 전시한다.
이번 S-Map에는 또 한강원 본류 및 4대 지천(중랑천, 홍제천, 탄천, 안양천) 수변공원 등이 실감형 공간정보로 구축됐다. 여기에 더해 한강 바닥 지형을 3차원으로 제공하고 2차선 이상 모든 도로의 정밀도로면을 제공한다. 이 같은 데이터는 '한강 리버버스', '자율주행 모니터링', 'UAM 안전 운항', '드론길 적정검토' 등에 미래도시 기초 데이터로 활용될 예정이다.
아울러 교수·학생과 민간기업 등이 보유한 자료의 손쉬운 공간정보 융·복합을 지원하는 새로운 도전 공간 '클라우드 기반 S-Map 오픈랩'을 고도화한다. 다양한 아이디어 실증과 오픈마켓에서의 기술 공유, 신산업 창출을 지원하는 취지다.
박진영 서울시 디지털정책관은 "기존 S-Map이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3차원 기반의 디지털 공간지도 역할을 수행했다면 이번에는 현실에서 경험할 수 없는 옛 서울 모습과 유물 등 다양한 경험을 담는 데 초점을 맞췄다"며 "앞으로도 첨단 디지털 트윈 기술 등으로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물론 시민의 눈높이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뉴스1 (https://www.news1.kr/articles/5380458)
No.17 미디어
2024-05-04 23:13:48 서울시, 3D 지도 ‘에스맵(S-Map)’ 최신 버전 12일 공개
한강·도로 중심 디지털 트윈 가상공간 구현
해외 미환수 유물 7점 가상박물관에 전시 확대
서울 시내 곳곳을 3D 지도로 구현한 디지털 트윈 데이터 '에스맵(S-맵)'이 한층 더 고도화된다.
서울시는 12일 최신 버전의 '에스맵'을 공개한다고 11일 밝혔다.
에스맵은 서울을 3D 지도로 구현한 뒤 행정, 환경, 시민생활 등 도시정보를 결합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다양한 도시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디지털 공간지도다. 2021년부터 가상현실을 활용한 거리뷰, 드론 영상, 문화재 관람 등을 시민들에게 선보이고 있다.
이번에 새롭게 개선된 에스맵은 △한강 본류, 4대 지천(중랑천·홍제천·탄천·안양천) 수변공원과 주요시설을 실감형 공간정보로 구축했으며 △한강 바닥 지형의 3차원 제공 △2차선 이상 모든 도로의 정밀도로면을 제공한다. 에스맵은 오는 9월 운영 예정인 한강리버 버스, 자율주행 모니터링, 도심항공교통(UAM) 안전 운항, 드론길 적정검토 등 미래도시 기초 데이터로도 활용될 계획이다.
해외 미환수 유물을 볼 수 있는 가상박물관 서비스도 확대된다. 독일 '라이프치히 그라시민속박물관'과의 협력을 통해 박물관에 소장된 우리나라 유물 7점을 촬영·가공해 현지에 전시된 유물과 똑같은 빛감과 재질로 디지털 가상박물관에 전시한다.
시는 이번 사업에서 복원되지 못한 50여종의 해외 미환수 문화재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발굴 3차원 복원해 언제든지 감상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박진영 디지털정책관은 "새롭게 공개하는 에스맵은 현실에서는 경험해 볼 수 없는 서울의 옛 모습, 유물 등 다양한 새로운 경험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성장하고 있고 다채로운 실감형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는 시민에게 유용한 플랫폼으로 성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첨단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응용해 문화, 안전 등을 해결하는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아시아투데이(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240411010006352)
No.16 미디어
2024-05-04 23:06:26 서울시 디지털 공간지도 데이터 '에스맵' 가상박물관에 해외 미환수 유물 7점 전시 확대
서울시는 가상현실을 활용한 거리뷰, 드론 영상, 문화재 관람 등 디지털트윈 서울 에스맵(S-MAP) 서비스를 최신화해 선보인다고 11일 밝혔다.
디지털 트윈 에스맵은 서울 전역을 3D 지도로 구현하고 그 위에 행정, 환경, 시민생활 등 도시정보를 결합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다양한 도시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디지털 공간지도이다.
이번에 새롭게 개선한 에스맵에서는 △한강 본류 및 4대 지천(중랑천, 홍제천, 탄천, 안양천) 수변공원 및 주요시설을 실감형 공간정보로 구축 △한강 바닥 지형의 3차원 제공 △2차선 이상 모든 도로의 정밀도로면을 제공한다. 이는 ‘한강리버 버스’, ‘자율주행 모니터링’, ‘UAM 안전 운항’, ‘드론길 적정검토’ 등 미래도시 기초 데이터로도 활용할 계획이다.
해외 미환수 유물을 볼 수 있는 가상박물관도 서비스를 확대한다. 독일 작센주에 있는 ‘라이프치히 그라시민속박물관’과의 협력을 통해 박물관에 소장된 우리나라 유물 7점(△청자양각연판문발△청채음각화훼문병△백석제화장구△업경대△옥떨잠△필통△금동보살입상)을 촬영·가공하여 현지에 전시된 유물과 똑같은 빛감 및 재질로 디지털 가상박물관에 전시한다.
이번 디지털박물관에 소장된 7점은 테스트베드 실증 지원사업을 통해 시민들이 직접 독일에 방문해만 볼 수 있는, 우리나라에 존재하지 않는 유물이다. 현실과 똑같은 유물을 디지털 트윈 기술을 융합한 에스맵을 통해서 언제든지 감상할 수 있게 됐다. 시는 이번 사업에서 복원되지 못한 50 여종의 해외 미환수 문화재에 대해 지속적으로 발굴 3차원 복원해 언제든지 감상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시는 다양한 아이디어 실증과 오픈마켓을 통한 기술 공유 및 신산업 창출을 지원하기 위해 첨단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해 △교수·학생 △전문연구가 △민간기업(스타트업 등) 등이 보유한 자료의 손쉬운 공간정보 융·복합을 지원하는 새로운 도전공간 ‘클라우드 기반 에스맵 오픈랩’을 고도화한다.
에스맵 오픈랩은 누구나 회원가입을 통해 우리시에서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공간정보를 가공없이 간단한 클릭만으로 활용하도록 지원하다. 가장 대중적인 오픈소스 GIS프로그램(QGIS)과 연계·운영할 수 있도록 개발했다.
박진영 서울시 디지털정책관은 “기존의 디지털 트윈 에스맵은 도시계획, 기후환경, 교통 등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3차원 기반의 디지털 공간지도의 역할을 훌륭하게 수행했다“며 ”새롭게 시민에게 공개하는 에스맵은 현실에서는 경험해 볼 수 없는 서울의 옛 모습, 유물 등 다양한 새로운 경험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성장하고 있고 다채로운 실감형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는 시민에게 유용한 플랫폼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출처: 이데일리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784326638855136&mediaCodeNo=257&OutLnkChk=Y)
No.15 미디어
2024-04-11 17:49:38 [CEO 인터뷰] 시공간을 초월해 모두가 문화유산을 누리는 세상을 위해, 헤리티지커넥션
시공간을 초월해 모두가 문화유산을 누리는 세상을 위해, 헤리티지커넥션
헤리티지커넥션 김서영 대표
문화유산이 보고 싶을 때 사람들은 박물관을 찾는다. 하지만 교과서에서만 봤던 것들을 실제로 본다는 설렘도 잠시, 투명한 상자 안 깊숙이 담겨있는 문화유산을 더 가까이서 보지 못해 아쉬움이 남기도 한다. 일반 사람들에게는 그 안에 담긴 역사적 가치만큼이나 멀고 어렵게만 느껴지는 것이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헤리티지커넥션은 문화유산을 조금 다르게 대하고 있다. 문화유산은 누구나 누릴 수 있고 언제 어디서든 쉽게 접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헤리티지커넥션의 철학이다. 그래서 이들은 가상 환경에 디지털 문화유산과 콘텐츠를 구현해 시공간, 국가, 인종, 연령의 제한 없이 누구나 문화유산을 감상하고 함께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했다. 이곳에서는 해외 곳곳에 퍼져있어 쉽게 볼 수 없는 문화유산들까지 전시되어 있다. 차별화된 기술력으로 문화유산 계승에 앞장서고 있는 헤리티지커넥션 김서영 대표를 직접 만나 이야기를 나눠봤다.
기업 소개를 부탁드린다
헤리티지커넥션은 우리의 문화유산을 누구나 누리는 세상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자사만의 새로운 기업 브랜드 가치를 만들어내는 곳이다. 문화는 특정 지역, 인종, 세대를 초월해 모두가 향유해야 하는 우리의 삶의 일부이다. 자사는 문화가 우리의 삶이 될 수 있도록 가상 환경에 디지털 문화유산과 콘텐츠를 구현하여 시공간, 국가, 인종, 연령, 언어의 제약 없이 누구나 문화유산을 감상하고 소통의 장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문화재들을 누구나 쉽게 볼 수 있도록 하고 또 도·농간,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문화 인프라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ICT를 문화·예술 분야에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보통 박물관에 있는 유물들은 안쪽 깊숙이 전시되어 있어 보는데 한계가 있지만, 이를 단순히 전시뿐만 아니라 교육적인 목적으로 더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다 기업을 설립하게 됐다.
주력 사업 내용에 대해 소개해달라
자사의 첫 번째 주력 사업으로는 문화재 3D 스캔 및 모델링, 가상 전시 기획 서비스가 있다. 현재 공식적으로 집계된 해외 소재의 대한민국 문화재 수는 대략 25만여 점 정도이다. 이 또한 해외의 기관 등의 경로를 통해 집계된 규모이고, 민간 소장가 등 알려지지 않은 문화재까지 포함하면 그 규모는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 문화재들은 모두 한국으로 가져올 수는 없지만 우리 국민들이 볼 권리가 있는 공공 자산이고 기술력을 통해 접근성을 높여주고 싶었다. 그래서 해외 국가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문화재의 대량 디지털 헤리티지를 수집했고 디지털 자료(고화질 이미지·영상) 및 문화재 형태에 따라 핸디 혹은 고정형 3D 스캐너를 통해 해상도 4K급 이상의 3D 데이터를 제작했다. 해외 문화재의 저작권을 직접 가져온 것은 자사가 최초이다.
그리고 획득한 3D 객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직접 접근 및 관찰 불가능한 문화재를 가상 전시 플랫폼을 통해 공개하고 있다. 공간, 시간, 물리적인 제약에 따르지 않고 24시간 언제 어디서나 관람할 수 있다. 이렇게 확보된 데이터는 추후 문화재의 소실 및 파손으로 후대에 전달되지 못하는 것을 막기 위한 보존과 복원에도 활용될 수 있다.
두 번째 주요 사업은 인공지능 큐레이팅 자동생성 프로그램 및 저작도구 서비스이다. 자사가 현재 개발 중인 디지털 헤리티지 전용 공유 플랫폼에서는 3D 모델링 및 다양한 이미지를 활용한 가상 전시를 진행하고, 이를 검색·열람 및 의견을 등록할 수 있는 인공지능 큐레이팅 자동생성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 다른 사업으로는 문화·예술산업 전문 학술연구 및 컨설팅 서비스가 있다. 자사는 정부 기관 및 박물관·미술관 학술연구용역사업, 컨설팅 및 정책 자문을 수행하고 있으며 현재 해외 박물관·미술관 소장 한국 문화재 전시관 조성 기획 및 연구조사에 참여 중이다. 이 밖에도 공공기관 연구보고서 발행 및 문화재 전문서적도 출판하고 있다.
이러한 사업들을 통해 문화의 보편적 향유를 실현하고 문화유산 계승의 단절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단, 이러한 사업이 민간분야 단독으로는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상호협력과 창의성, 혁신과 기술의 활용, 국제적인 협력과 지식 공유’를 바탕으로 공공분야와의 협력 강화에 주안점을 두며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앞으로의 목표가 있다면
자사는 일반인의 접근이 어려운 국내 문화재나 해외 소재 한국 문화재가 전시, 역사·문화 교육, 학술 연구 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디지털 데이터를 활용한 공익적인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다. 현재 독일을 중심으로 한 유럽 시범지역 대상 웹 기반 가상공간 플랫폼과의 연계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해외 주요 국가 박물관 및 정부 기관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있다. 또 해외 소재 한국 문화재 디지털 데이터 확보 대상을 민간소장가 등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앞으로 자사는 국내·외 민간 및 개인 소장 문화재를 대상으로 디지털 자산화 사업을 진행하고 PC 및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디지털 자산을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것이다. 또 유·무형 문화유산 및 생활문화사 등 다방면으로 적용 범위를 학대해 디지털 헤리티지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한국 문화재의 접근성을 높이며 그 가치를 재조명하고 국제적으로 알리고자 한다. 그리고 해외기관과의 협력 체계를 확대해 문화유산 보존 및 활용을 위한 디지털 헤리티지 기술 개발에 앞장서고 한국의 문화적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한다.
출처: 경제인뉴스(https://www.newseconomy.kr/news/articleView.html?idxno=15216)
No.14 안내
2024-04-04 18:10:00 서울특별시 에스맵(S-Map), "가상서울 600년 역사문화복원거리" 실감콘텐츠 서비스 개시
서울특별시는 서울의 역사를 담고 있는 7가지 장소를 3D 그래픽으로 복원했습니다. 가상 서울을 함께 둘러보며 600년의 역사를 체험해 보시기 바랍니다.
개발을 담당한 주식회사 스코넥엔터테인먼트와 협력하여 주식회사 헤리티지커넥션이 역사고증 사료에 기반하여 데이터라벨링, 세부 건축배치도, 시나리오, 내레이션 자막을 제작하였습니다.
https://smap.seoul.go.kr/
<권장 시스템 사양>
OS Windows 10 1909 이상
CPU 쿼드코어 CPU 급
RAM 8GB 이상
저장 공간 3GB 이상
Graphic Card GeForce GTX 1050 Ti 이상
No.13 안내
2024-03-13 11:39:36 헤리티지커넥션, 서울특별시 S-Map 플랫폼에 실증 완료
- 부처명 : 서울특별시
- 전담기관명 : 서울경제진흥원
- 실증사업명 : 2022년도 2분기 선정 테스트베드 서울 실증지원 사업
- 실증 주요내용: 해외 미환수 한국 문화재에 대한 초고화질 3D 스캐닝 및 모델링(4K급 이상)을 통한 디지털 자산화 및 디지털 저작권 확보와 S-Map 등 서울시 디지털 공간정보와 결합한 초실감형 가상 전시 플랫폼 대시민 서비스 제공
- 서비스 개요:
1. 가상 전시는 S-Map 디지털 박물관 일반인 관람용과 전문가 관람용 2가지로 구성하여 대시민 서비스
2. 유물의 전시 조명, 유물 설명 등 데이터 커스텀이 가능하도록 최적화된 3D 객체 데이터를 해상도 저하 없이 서비스 제공 (4K UHD급)
3. 유물 360도 회전 ,확대 등 세밀한 관람 기능에도 원형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현
* S-Map 홈페이지: smap.seoul.go.kr
No.12 안내
2024-03-13 11:03:53 헤리티지커넥션, 한국시험평가원 시험평가를 통한 문화재 3D 객체 데이터 검증 완료
1. 시험명 : V&V(Verification & Validation) 시험
2. 시험대상: 해외 소재 한국 문화재 모델링 데이터
3. 시험기간 : 2023년 9월 7일 ~ 9월 8일
4. 판정: PASS
No.11 안내
2023-08-23 08:38:17 헤리티지커넥션, 대한불교조계종과 협력하여 해외 소장 한국 불교문화재 3D 영상전시물 전시 (해인사, 송광사 등)
주식회사 헤리티지커넥션은 독일 드레스덴 국가예술컬렉션 라이프치히 그라시민속박물관 소장 한국 불교문화재인 금동여래입상, 업경대, 금동보살입상등 3D 영상전시물을 제작하여 해인사 성보박물관, 송광사 성보박물관 등에서 공개합니다.